목록Study (18)
또 뭐하지
메타버스 - VR(가상현실), AR(증강현실), MR(혼합현실), XR(확장현실), SR(대체현실) - 디지털 트윈(Digital Twin) : 현실 세계의 사물이나 시스템을 가상 공간에 실시간으로 복제한 디지털 모델 => 스마트시티, 스마트빌딩 등 IoT 발전에 따라 시뮬레이션을 위해 발전가능성이 큰 분야- 메타버스 아키텍쳐 : 가상 생태계, 플랫폼, 인프라 - 가상 생태계 : 아바타, UGC(User Generated Content), 디지털 자산, 마켓플레이스, 마케팅 - 플랫폼 : 프로그래밍 엔진, 자산디자인도구, 메타버스 서비스, 메타버스 활용기술, 가상 금융서비스 - 인프라 : 이용기기, 네트워크, IT 인프라 (HMD : Head Mounted Display, 머리에 ..
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.

■ 처음에 시간초과 떴던 코드N = int(input())L= [(i+1) for i in range(N)]while len(L)>1: L.pop(0) L.append(L.pop(0))print(L[0]) ■ 제출코드위에 코드를 이용해서 한 50까지 출력해놓고 패턴을 찾아서 코드를 작성했다. N보다 작은 2의 제곱수 중 가장 큰 값을 k라고 했을 때, (N - k) * 2 가 답이다.N = int(input())s = 1while True: if (N == 1 or N == 2) : print(N) break s *= 2 if N ■ 다른 풀이다름 사람들을 살펴보니 deque를 활용해서 첫 번째 제출했던 코드를 구현해서 제출했다...

N = int(input())A = set(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)M = int(input())m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for i in m: if i in A: print(1) else: print(0)

진짜.. 오래걸렸다.숫자로 변환해서 푸는 문제도 고민해봤는데 실패하고, 하나하나 비교하는 코드를 짜자니 막막했다.문제에서 '이 정의를 따르면 체스판을 색칠하는 경우는 두 가지뿐이다'라는 부분을 힌트 삼아서 풀었다. 먼저 가능한 두 가지 경우의 2차원 배열을 미리 저장해두고,입력받은 문자열을 2차원 배열로 받아와서,8*8 크기로 잘라가면서 위의 가능한 두 가지 경우에 대해서 비교를 하였다.각 경우별로 다른 원소의 개수를 세어 result 배열에 저장해둔 후 제일 작은 값을 출력하는 방식으로 답을 얻었다. N, M = map(int, input().split())board = []case1 = [['B', 'W', 'B', 'W', 'B', 'W', 'B', 'W'], ['W', 'B', 'W', 'B', ..

N = int(input())L = []for _ in range(N): l = list(map(int,input().split())) L.append(l)L.sort()for i in L: print(i[0],i[1])

N = int(input())L = []for _ in range(N): x, y = input().split() L.append([int(x),y]) L.sort(key = lambda x:x[0]) for i in range(N): print(L[i][0], L[i][1])sort 함수에 기준을 적용할 수 있단 걸 새롭게 알았다!